부제 : 초심자를 위한 SAP 전표 생성 첫 단계, SAP FI FB50 아주 쉬운 사용법
안녕하세요, D 입니다.
오늘은 회계팀 즉 FI 모듈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티코드 중 하나인 FB50 사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알아본 FB01 티코드는 모든 회계 전표를 생성할 수 있는 화면이었다면
오늘 다룰 FB50 은 SA 전표를 생성하는, SA 전표 전용 화면입니다.
SAP의 FB01 화면에서 다룰 수 있는 것이 참 많지만, 익숙하지 않다면 어려울 수 있기에
친절한 SAP는 SA 전표, 다른 말로 총계장원장 즉 일반 전표를 생성할 수 있는 쉬운 화면을 만들었습니다.
FB01 화면에서는 차변 대변을 한 화면에서 다루지 못하고 하나씩 작성해야 했는데,
FB50 화면에서는 한눈에 손쉽게 입력하고 수정할 수 있습니다.
아래 화면이 바로 FB50 화면입니다.
노란색 표시된 부분이 전표의 차변 대변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헤더라인 부분
항목이라 되어 표처럼 생긴 부분이 차변, 대변 금액을 입력하는 아이템 부분입니다.
FB50의 항목은 차변 대변 순서 상관없이 금액과 GL 계정을 주욱 적어 내리면 됩니다.
회사코드를 변경하고 싶을 때는 상단의 회사 코드 버튼을 클릭하여 회사 코드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증빙일과 전기일의 설명은 지난 시간의 설명과 동일합니다.
증빙일은 실제 회계 거래가 발생한 날짜, 전기일은 전표가 실제로 생성되는 날짜입니다.
지난번과 동일하게 G/L 설명으로 총계정원장 계정 번호를 찾아 소모품비 비용 전표를 생성해 봅시다.
FB50 화면에서 차변 대변은 D/C 로 표현됩니다.
FB01 화면에서는 전기 키를 통해 차대변을 구분했다면
FB50 화면은 간단하고 직관적으로 차변! 대변! 이렇게 명시되어 있습니다.
실제로 전기 키는 40 50 이 사용됩니다.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해 이해하기 쉽도록 차변, 대변이라 표시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FB01 화면에서도 이해하기 쉽게 차변 대변이라 보였으면 좋았을 텐데 의문이 생길 수도 있을 듯합니다.
FB01 화면은 총계장원장 전표뿐 아니라 매입전표, 매출전표, 자산취득 전표 등 다양한 전표를 생성할 수 있고
이 전표의 속성마다 차대변 전표 키가 31, 70, 75, 29 등 다양하기에 번호로 표시하고 있는 것입니다.
FB50 화면은 총계정원장, 즉 G/L 계정전표만 입력할 수 있기에 사용되는 전기 키가
차변은 40 Debit 대변은 50 Credit 으로 정해질 수 있고 따라서 이를 '차변' '대변'이라는 문자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
SAP 전표를 처음 작성하는 사용자 입장에서는 가독성이 매우 높은 화면입니다.
위 사진처럼 헤더라인, 차변, 대변을 입력하고 상단의 저장 버튼을 클릭하면
매우 간단하게 비용 회계 전표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FB01 과 마찬가지로 FB03 화면에서 생성된 회계 전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전표 조회 화면에서 FB50 에서 작성한 전표는 전표 키가 전부 40 50 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전표 수정이 필요하다면 FB02 화면에서 수정 가능합니다.
오늘은 SAP 에서 일반 회계 전표를 간단하게 작성할 수 있는 FB50 사용법에 대해 다루었습니다.
SAP 회계 전표작성하는 화면이 다른 ERP 전표 작성하는 방법에 비해 낯설게 느껴질 수 있지만 생각보다 어렵지 않습니다.
FB50 매뉴얼 학습을 통해 익숙해지는 시간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SAP > Modu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SAP FI 모듈 FB60 매뉴얼 공급업체 송장 KR 전표 생성 방법 (0) | 2023.07.11 |
---|---|
SAP FI 모듈 FB01 매뉴얼 SA 전표 작성 방법 (0) | 2023.07.05 |